노트북 살때 가격대별 상품비교 (Feat. 맥북에어)

IT|2022. 1. 24. 15:38

2020년부터 외출을 하기 어려운 환경이 지속되면서 재택근무 확산으로 인해 집에서 업무를 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이에 예전보다 휴대성이 강조된 랩탑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노트북 선택요령과 가격대에 따른 상품의 스펙을 비교하는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목적별로 나눌 생각이니 가격비교를 하고 싶다면 한번 기준점을 잘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2022년 1월 기준으로 랩탑의 최소 요건을 말씀드리겠습니다.

 

cpu는 쿼드코어(4코어) 이상, 메모리는 8gb 이상, 저장장치는 ssd로 256gb 이상을 권합니다.

 

사무용 혹은 가정에서 간단한 웹서핑, 문서 작성 및 출력, 동영상 시청 등으로 사용하려는 분들이 저가의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더라도 위에 기준은 지켜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만족하며 오랫동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만원 혹은 30만원대 제품들도 많이 볼 수 있는 상황이지만 저는 권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제가 약 7년전에 듀얼코어 제품을 구매해서 4년 정도 사용했는데 점점 일반적인 목적으로 써도 힘들더군요. 요즘 출시하는 쿼드코어 제품들도 가격대가 저렴해서 기준을 위와같이 정했습니다.

 

제 경우 사용 목적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드릴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외부에서 사용하는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

 

학생이나 직장인 중 외부에서 주로 사용할 목적으로 랩탑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노트북 가격비교를 할때 무게와 디자인, 크기를 중요하게 생각해야됩니다. 제가 13인치, 15인치, 17인치를 사용해봤는데 디자인과 크기도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제가 방금 검색을 해봤을때 3~40만원대 제품이 제일 무난해서 스펙을 정리해봤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베이직스와 lg전자 제품을 봤는데요. 최대한 둘 사이에 스펙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옵션을 조정해서 가격을 비교해봤습니다. 제 경험상 13인치 정도가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에도 좋아서 13~14인치로 알아봤습니다. 또한 두 제품 모두 윈도우 10을 기본 설치하는 옵션으로 뽑았으니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도 쉽게 선택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혼자 어느정도 컴퓨터 관리가 되는 분들이라면 가격을 따라가는게 맞고, 잘 몰라서 대처가 안되는 상황이라면 언제든지 lg전자 서비스센터로 들고 달려갈 수 있는 lg 제품이 낫다고 봅니다.

 

비슷한 가격대에 비슷한 사양의 제품이 많은데 윈도우를 기본 포함하는 제품이 베이직스라서 그에 맞춰서 제품 두 개를 골라봤습니다.

 

* 상품은 개인의 취향이니 기본적인 기준점만 맞춰서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2. 집에 놓고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

 

원룸에 거주하거나 집에 데스크탑 pc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서 알아보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럴 경우 화면이 좀 더 크고 사양이 좋은 제품으로 고르는게 좋습니다. 밖에 갖고 다니기는 부담스럽지만 집에 놓고 컴퓨터로 사용하는 목적입니다.

 

 개인적으로 6코어 cpu를 탑재한 레노버 제품이 무난하게 보여서 거의 동일한 사양의 제품 두 개를 올려봤습니다. 하나는 젠2, 하나는 젠3입니다. 둘이 차이가 없는데 같이 둔 이유는 출시 시기가 좀 차이가 나더라도 상세 스펙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 괜찮기 때문입니다.

 

15인치 화면이면 기본적인 사무업무와 넷플릭스, 유튜브 등을 시청하기에 불편하지 않습니다. 또한 5500u cpu는 저전력 옵션이라 게임용으로는 불편하지만 일반 사용 목적에서는 좋습니다. 아직까지 내장그래픽카드의 성능은 amd가 더 낫기때문에 가볍게 사용할 목적으로 집에두고 쓰기에는 위 사양 정도가 적당합니다.

 

3. 게임을 즐기기 위한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게이밍 노트북을 알아보는 분들에게 최소 수준의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적어도 게임을 하겠다고 장만하는거라면 100만원 초반대는 생각해야된다고 봅니다. 단순한 사양뿐 아니라 쿨링 면에서도 신경을 써야되고 주사율도 봐야되기 때문에 이렇게 정했습니다.

 

실제로 시장에는 gtx 1650, gtx 1660을 장착한 게이밍 랩탑도 판매가 됩니다. 하지만 2022년 1월에 구매하는 사람이라면 rtx 3050은 선택해야 앞으로 무리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어서 기준점을 3050으로 잡았습니다. 메모리의 경우 16gb가 적당한 수준이라 asus 제품을 구매하실때는 메모리 8gb 추가를 하시길 권합니다.

 

이 정도가 최소 수준이라고 생각하며 더 비싼 제품들은 각자의 판단에 따라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성능과 휴대성을 모두 잡고 싶다면?

 

번외일 수 있는데 100만원대 제품을 찾다가 맥북 에어 13인치를 봤습니다. 너무 잘 빠져서 사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1번과 2번 목적을 모두 포함하고 돈을 좀 쓸 생각이 있다면 고려해봐도 좋을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13인치 제품으로 4년 정도 일을 했던 입장에서 휴대성과 성능을 모두 갖춘 제품으로 눈길이 가는건 이 제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쓸 수 있는 돈의 크기를 높이면 lg나 삼성 제품도 눈에 보이는게 많지만 ios에 거부감만 없다면 전 애플 제품이 더 낫다고 보여지네요.

 

익숙한 윈도우 환경이 아니다보니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품은 아니지만 사용할 줄 아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애플의 맥북에어 13인치가 가성비가 좋게 느껴지네요.

 

※ 13인치 qhd라서 관심이 있다면 무턱대고 구매버튼을 누르기보다 애플 매장에 방문하여 실제로 화면을 보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사족

 

이 글은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상품을 구매할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그래서 비슷한 상품들을 2개씩 골라서 가격비교를 한 것입니다. 하지만 저 제품들 중에서 꼭 고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적은건 아닙니다. 내가 구매한다면 저것들을 봤을거라서 정리한 것입니다. 또한 저는 제품보다 맨 위에 적어놓은 기준을 전달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큽니다.

 

왜냐하면 제 주변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일인데 가격만 신경써서 너무 성능이 떨어지는 노트북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이 때문입니다. 기준 위에 서 가격을 비교해야만 그래도 쓸만한 제품을 고를 수 있다고 생각해서 적은 글입니다. 참고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글을 적으려고 네이버 쇼핑을 돌아다니다가 맥북 에어를 봤는데 다음에 스마트폰 바꾸면 아이폰으로 변경하고 저 놈도 장만해서 서브 컴으로 쓰고 싶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