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샵으로 부모님 제사 지방 출력하는 방법 (feat. 용지 크기, 글씨체)
얼마전 조부모님의 제사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아버지도 연로하셔서 지방을 쓰기 어렵다며 제게 컴퓨터로 뽑으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처음으로 부모님 제사 지방 쓰는 법을 검색하고, 포토샵으로 출력해서 이번 제사에 사용을 했습니다.
문제는 지방에 써야되는 한자는 제주, 상황 별로 안내한 블로그 글이 많은데 개인이 출력하는 방법이 나온 글은 별로 없더군요. 그래서 제가 포토샵으로 뽑은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그럼 순서대로 한번 적어볼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은 아버지로, 부모님을 모시는 제사임을 밝힙니다.
1. 지방에 적을 문구 확인하기
문구는 제주(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와 모시는 분의 관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보통 제주는 자식이고, 모시는 분은 부모님이 되는데요. 이 경우 다른 블로그들을 보면 상황에 따라 적어야되는 문구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janganpark/221562758800
▲ 제가 도움을 받은 블로그로 파일로 샘플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글이 작성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참고로 저희 집의 경우 할아버지, 할머니의 제사가 같은 달이라 한 번에 지내다보니 두 분을 같이 모시는 지방을 썼는데요. 저희집이 쓴 문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顯妣孺人慶州崔氏神位(현비유인경주최씨신위)
2. 용지 크기 확인하기
포토샵으로 지방을 만들때 용지는 A4 용지를 쓰면 되고, 크기는 가로 6cm, 세로 22cm로 만들고 문구를 적으면 됩니다.
* 제사를 마무리하면서 태우는데 A4도 깔끔하게 잘 타네요.
3. 한자 글씨체 설정하기
개인적으로 포토샵으로 부모님 제사 지방을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글씨체였습니다. 처음 만들다보니 글씨체에서 막혀서 그냥 업체에서 주문할까 했는데요. 포토샵으로 하나하나 적용하다보니 제 눈에 예쁜 한자 글씨체를 발견했습니다.
▲ 비교를 위해서 포토샵에서 쓸만한 것들만 몇 개 뽑아봤는데요. 1번 HY견명조Regular, 2번 HY신명조Regular, 3번 휴먼옛체Regular, 4번 標楷體 Regular 입니다. 제 경우 3번인 휴먼옛체를 사용했는데 선택은 취향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 단순히 한자체를 보여드리기 위한 것으로 顯(현) 자가 올바른 표기이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 여자 문구 중 妣(비)는 찾을 수 없어서 인터넷에서 복사해서 넣었습니다. 죽은 어미 비 라는데 없어서 그런가 글씨체에도 없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워드 문서에서 크기 조정 후 출력
▲ 제 경우 부모님 제사 지방 출력은 워드 파일에서 했습니다. 일단, 포토샵에서 JPGE 파일로 저장한 뒤 워드 편집 화면에서 이미지를 넣어서 가로, 세로 길이를 최종 조정하고 테두리를 입혀서 출력했네요.
* 테두리를 입힌 이유는 가위로 자를때 가이드 선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테두리는 제일 얇은 선으로 했고, 선 색상도 옅은 회색으로 하였습니다.
이렇게 출력한 뒤 위패에 넣어서 크기를 확인하면 부모님 제사 지방 출력은 끝이 납니다.
필자가 이번에 사용한 제사 지방
▲ 최종 확인에서 두 분 모두 신위를 모두 넣길 원하셔서 이렇게 제작해서 제주께 고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최종적으로 사용한 제사 지방은 왼쪽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모시는 분 중 남자가 공직이나 전문직에 종사했다면 문구는 바뀔 수 있으며, 여자의 문구는 본관이 들어가므로 다른 사람의 파일을 갖다 쓰더라도 모시는 분의 본관을 확인한 뒤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포토샵으로 지방 출력하기 정리 및 주의사항
1. 문구 확인 (제주와 모시는 분의 관계, 여자의 경우 본관 확인)
2. 용지 크기 6 X 22 (단위 : cm)
3. 한자체 - 휴먼옛체
혹시라도 직접 제사에 쓸 지방을 적는 분들이 계신다면 포토샵으로 제작하실때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